본문 바로가기

1. 지켜주는, 건강 탐구77

진짜 암과 유사 암 구별하기 _ 암의 대처자세 [암의 역습]이란 책을 소개합니다. 일본의 곤도마코토 저자의 책인데요,이름이 익숙하다 싶어 봤더니,이미 제가 이 분 책을 좀 봤었네요. ^^ 물론 책의 내용 중에 걸러야 할 부분은 걸러서 보세요. 어떤 한 부분이 나와 생각이 다르다고 해서, 전체를 다 비난할 순 없습니다. 곤도마코토는 일본에서 암 전문의로 50년 이상 암환자를 진료한 의사입니다. 일본에는 이런 의사들이 많은 것 같아요. 유명한 약도 많고요. 제가 아는 일본 약만 해도.. 양배추 추출물로 만든 일본 국민 위장약 카베진,진해거담제 용각산(길경, 인삼, 행인 등 한방성분)설사 등에 정로환(황련, 황백, 감초 등 한방성분) 다들 들어봤을 법한 약들이 다 일본 유명 제품입니다. 성분도 한방성분이거나 천연성분이 많아, 안전하기까지…일본인 사토시 오.. 2023. 3. 7.
mRNA 독감백신 코로나 백신을 맞지않는 사람들도독감 백신은 맞더라고요. 지금 나라에서 코백신을 강요하지 않는 건너도나도 줄서서 독감백신을 맞고있기 때문이죠. 둘 다 같다는 말. 코백신=>독감백신. 아래 만화도 참고해 보세요. https://mascov.org/forum/view/221716 127편 : mRNA 독감 백신 mascov.org-cardnews127_.zip의료인 연합이 2021년 2월 15일 첫 성명을 발표하며 코로나19 백신 접종에 반대했던 이유는 유전자를...mascov.org아이가 태어나면 예방접종을,2년간 30여개를 맞아요..지금 제 아이 예방접종 수첩을 보니 그렇네요. 독감 백신은 맞을 이유 없습니다. 아직 검증되지 않은 mRNA라서요… 2022. 11. 11.
정전기 때문이라고? _ 부종,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대사증후군, 아토피, 동맥경화 _ 맨발로 흙을 밟는 이유 2013년도 출간된 [호리 야스노리]저자의 [모든 병은 몸속 정전기가 원인이다]책입니다. 일전에 전자파 관련 글에서 잠깐 언급한 적 있었지요. 이 분은 원래 치과의사로 턱관절 장애 치료분야에 혁신을 일으켰다고 하네요. 책에도 관련내용이 나옵니다. 모든 병은 몸속 정전기가 원인이다 : 네이버 도서 (naver.com) 모든 병은 몸속 정전기가 원인이다 : 네이버 도서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search.shopping.naver.com 몸속 정전기물체가 전하를 띠는 것을 "대전"이라 하고 이런 현상을 "정전기"라고 합니다. 정전기는 둘 이상의 절연체가 마찰할 때 발생합니다.혈관을 하나로 이으면, 10만km (지구 두바퀴 반)이고, 이 긴 혈관을 24시간 쉬지않고 혈액이 혈관과 스치면서 대량의 정전.. 2022. 10. 25.
오미크론 하위변이 BA.5 _ 회복 팁_(내 면역을 뚫기때문에 이젠 그동안 안걸린 사람도 다 걸린다) [최근 뉴스기사]1) 면역회피' 뛰어난 BA.5 국내 우세종 됐다…전체 검출률 66.8% _ 2022.8.02 경향신문 등2) BA.5가 점점 우세종이 되면서 최근 확진자들 대다수가 코로나19에 한 번도 걸린 적이 없는 사람들로 나타나고 있다.미국 뉴욕주의 경우 이달 1일~11일까지 코로나19 확진자 중 첫 확진자는 83%에 달했다. 한국도 지난 21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7월 첫째 주에 집계된 신규확진자 중 약 97%가 첫 확진자였다. “올 초 오미크론 변이(BA.1·BA.2)에 감염된 사람들은 현재 유행하는 BA.5 감염을 경험할 가능성이 작다"고 전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원조 오미크론인 BA.1에 감염된 사람이 그 하위변이 BA.5로부터 보호될 확률은 약 80%에 달했다. 즉, 오미크론 변.. 2022. 8. 21.
내 아이 시력 (코로나 시기) 어린아이들 시력의 중요성 요즘 갑자기 시력이 안 좋아서 안경을 쓰는 아이들이 늘었습니다. 코로나 2년 동안 원격 수업하랴 하루에 몇 시간씩 컴퓨터 앞에 앉아있기 때문이죠. 아이들은 어른들보다 훨씬 빨리 시력이 망가져요. 아이가 컴퓨터나 패드로 학습을 오래 하면, 나름 부모들은 편하고 좋게 느낄 수 있는데, 이때 시력은 신경 써 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어린 초등~중등 기간에 특히 더 조심해야 하지요. 아이들은 시력이 조금 안좋아져도 빨리 인지못해서, 부모들도 모르고 지나칠 수 있습니다. 제 오빠를 예로 들자면, 일단 저희 가족은 시골에서 살아서 그런가 모두 시력이 1.5~2.0 수준으로 엄청 좋았어요. (생각해보니 제 윗세대에서는 안경쓰는 사람이 정말 드물군요. 어머니, 아버지, 친척분들 다 떠올려봐도 안.. 2022. 6. 23.
소화기관은 이렇게 작동합니다 (위산, 담즙, 췌장액...) 제가 일전에 쓴 글 중에,레몬/라임/자몽 등 화학적으로 산성을 띠는 음식들이 몸속에서 알칼리 반응을 일으킨다고 쓴 적이 있지요. 이유는, 산성을 띠는 이런 음식들이 내 몸에 들어와 소화되는 과정에서 알칼리성 물질로 분해되기 때문이죠. 이번에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소화기관의 구조와 역할,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아래에 간단하게 그린 소화기관 그림을 참고해 주세요. 1. 우리 몸의 소화기관 이야기 그림을 보면 아시겠지만, 위-십이지장-소장이 쭈욱 연결되어있지요.소화관은 꼬불꼬불한 빨대같은 거에요.여기서 나오는 즙들이 소화를 잘되게 합니다. 1) 위 식도에서 음식물이 내려오면위에서 위액(ph2이하의 강산성으로 염산과 비슷)을 분비하여, 죽처럼 만듭니다.2) 십이지장십이지장에 산성인 죽이.. 2022. 6. 23.
만성피로를 유발하는 커피 _부신의 중요성 알아가기 날씨가 더워지니 자연스럽게 얼음 동동 띄운 아메리카노를 달고 살게 됩니다. 커피가 내게 안 좋은 것이란 걸 알면서도...전 원래 커피를 마시지 않았어요. 20대 때도 친구들 만나서 커피숍을 가면 늘 차를 마셨습니다. 그런데 커피숍에서 언제부터인가, 커피에 시럽도 넣고, 우유도 넣고, 초코도 넣고 달달하게 만들어 예쁘게 꾸며서 막 파니까, 한 두 번 먹어보다가... 회사에서 습관적으로 몇 번 마시다가...(반 강제) 10년을 이렇게...애 낳고 육아에 지친 어느 날,하와이 신혼여행 때 호텔에서 가져온 하와이 커피 티백이 굴러다니던 걸 보고선 먹었는데, 그 향과 풍미가 언빌리버블~!아마도 자유가 없어진 내 삶에서, 커피는 자유의 갈망이었나 봐요.그때부터 하와이 커피, 코나 커피를 찾아 마시고,이 원두 저 원.. 2022. 6. 21.
보이지 않는 무지개 (하) _ 이명과 전자소음 전자파를 귀로 듣는 사람이 늘고 있다. 그것은 전파가 그만큼 많이, 강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말이겠다. 이 책에 나오는 이명 관련 글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언젠가부터 주위 친구들이 하나둘씩 이명증세를 토로하곤 했다. 나 또한 출산 후 몇 년간 이명증세가 있었다. 3월 5일이었나? 자다가 새벽에 감은 눈 속에서 번쩍이는 빛과 함께 굉음이 들려서 깬 적이 있었다. 순간 꿈인가? 했는데 옆에서 자던 아이가 “엄마 무슨 소리야?” 했다. 아이도 들었다는 얘긴데…남편의 갤럭시 5G폰이 침대 위에 있었다.눈앞이 번쩍이고 굉음이 들렸다는 것은 전자문제임을 직감적으로 알 수 있었다. 이 책에 관련 실험들을 읽어보았기 때문이다. 최근 들어 유독 아이폰을 만지면 손끝이 저려온다. 잠을 자려하면 웅웅 거리는 저주파 소리 때문.. 2022. 6. 11.
보이지 않는 무지개(하)_ 암세포와 산소부족 전자파와 암의 발병 사례 1. 1997~2003년 사이 바티칸의 라디오 안테나가 집단으로 설치된 지역으로부터 6~12km 떨어진 곳에 사는 1~14세 아이들은 백혈병, 림프종, 골수종이 다른 지역에 사는 아이들에 비해 8배나 많았다. 2. 1931~1940년 네바다주에서 가정용 전기화율은 소폭 증가했지만, 심장병, 당뇨병, 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극적으로 증가했는데, 1936년 완공된 후버댐과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수력발전소는 고압선을 이용하여 후버댐에서 네바다 남동부를 지나 목적지까지 가면서 주변지역에 사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세계 최고의 전자기장을 노출시켰다.중계탑 근처에 사는 것은 암을 유발하고, 백혈병, 암, 성인 백혈병, 방광암, 피부흑색종, 뇌종양, 림프종 발병 비율이 높았다. 휴대전화와 뇌종양.. 2022. 6. 8.
보이지 않는 무지개 (하) _ 당뇨병 먼저 심장병에 관한 아래 글을 안 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먼저 보시길 바라며, 이번엔 당뇨병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보이지 않는 무지개 (하) _ 심장병 (tistory.com) 보이지 않는 무지개 (하) _ 심장병 보이지 않는 무지개는 상, 하 2권으로 이루어진 책인데요. 상권을 아직 못 보신 분들은 아래 링크 글 먼저 읽어보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보이지 않는 무지개(상) _ 지구 생명의 전기현상과 naturalmedicine.tistory.com 전기 보급과 전자기장 노출 _ 당뇨병의 시작 토머스 에디슨은 백열전구, 일정한 전압이 유지되는 발전기, 병렬회로 배전시스템을 발명했다. 1882년 지금까지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3 선식 배전 방식을 특허 등록했다. 그 무렵 에디슨은 당뇨병이라는 당.. 2022.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