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최근에 마케팅 책을 몇 권 읽고,
현타가 많이 왔어요.
그냥 좋아하는 책 읽고 기록하는 삶이 좋았는데,
돈 벌 생각은 하지 못한 것이.... 현타...
‘내가 할 수 있는 건 무엇인가?’라는 자괴감도 들고요.
곰곰이 생각해 보면서 길을 찾아보려고요.
여러분도 저처럼 곰곰이 사유하는 시간이 되어보세요.
제 생각을 공유합니다.
목차박스 |
1. 영상의 대중화, 나는 어디로... 2. 블로그로 돈벌기는 어렵다 3. 그렇다면 어떻게 할까? 4. 앞으로 나의 방향 |
1. 영상의 대중화, 나는 어디로...
사람들은 이제 유튜브에서 검색을 하고 자료를 찾고, 인사이트를 발견합니다.
유명인의 강의도 유튜브에서 직접 들을 수 있으니, 저 역시 유튜브를 종종 애용합니다.
"이래서 사람들이 다 유튜브를 하려고 하는구나. 초등학생들 꿈이 유튜버라는데..."라는 생각이 드는 순간이었어요.
인사이트를 얻고 흘러가는 정보를 접하기에는 유튜브가 아주 좋더라고요. 하지만 영상에서 얻는 지식과 정보는 제 머릿속에서 빨리 소멸하는 것 같아요.
'말해주는 정보'는 결국 어딘가에 글로 정리된 자료가 제겐 필요하더라고요. 앞으로도 영상이 모든 콘텐츠를 대체하지는 못할 것 같아요. 빠르게 말하는 유튜브 시대에도(몇 배속으로 보는 건 안 비밀) 읽고 곱씹을 수 있는 텍스트 자산이 반드시 필요하지요.
2. but 블로그로는 돈 벌기 어렵다
지식과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시작한 블로그 글쓰기지만, 수익은 거의 없고, 조회수는 포털 개편에 따라 크게 좌우됩니다.
최근에 읽은 [마케팅 설계자], [트래픽 설계자]를 읽다 보면, 처음엔 끄덕끄덕하며 읽다가, 나중에는 다 그들만의 세상 이야기 같아서 오히려 더 암울합니다.
블로그로 돈을 벌긴 어려워요. 사업가로 바뀌어야 밥이라도 먹고 살지요..
저는 말보다는 글이 편한 사람입니다. 그래서 영상의 대중화 시대지만, 나는 '글의 방식'으로 다르게 가보자.
3. 그렇다면 어떻게 할까?
AI가 [정보와 지식의 창고]가 되어버린 시대이기에, 그런 내용의 글들은 이제 특별한 가치를 갖지 못해요. 세상은 이미 전문가로 넘쳐나고 있습니다.
이제 사람들은 AI를 이용해서 매일같이 수많은 영혼 없는 글들을 발행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논문처럼 기술된 자료보다 감정이 섞인 글들을 더 좋아하고 오래 기억합니다.
지금이라도 학위를 더 딸까? 아뇨. 굳이 화려한 스펙이 필요해 보이진 않아요. 이젠 과거처럼 스펙이 아니더라도 '쌓인 글, 쌓인 영상, 기록들'이 사람들에게 신뢰를 주고 있습니다. 스펙은 빠르게 '인정'받을 수 있어도, 오래 '공감'받는 건 다른 문제니까요.
정보홍수시대에, 정보와 지식의 저장고인 제 블로그에서 [질문을 던지는 사람. 생각을 끌어내주는 사람. 생각을 이어주는 친구]가 되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렇게 “믿고 찾는 사람”이 되자.
그것이 AI가 할 수 없는 인간의 고유영역이라 생각해요. '내가 미처 보지 못했던 시선'을 제 글에서 만난다면 사람들은 더 눈여겨보게 되고 생각을 하게 될 거예요.
모든 글들에서 [개인의 경험과 깨달음]이 있는 글들, [문제를 제기하는 사람], [대안을 제시하는 글], [해결책을 마련해 주는 글]이 가치 있는 글이 될 거예요.
4. 앞으로 나의 방향
일단 지금처럼 블로그는 계속 쓸 생각입니다. 독서와 블로그는 평생 하지 않을까 싶어요. 블로그는 수익창출 플랫폼이 아니라 제 삶의 기록이자 신뢰축적 플랫폼이거든요. 신뢰자산의 창고이지요.
교육, 건강, 심리, 과학, 철학, 수학 등등 지금처럼 읽고 싶은 책을 요약 정리하는 것에서 + 철학적 질문, 개인경험, 통찰, 해결책을 제시하는 블로그가 되도록 더 힘써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현실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많은 엄마입니다. 아이와 함께하는 많은 것들에 이어, 무언가를 더 배우고 도전해야 한다는 것에 부담도 생겨요. 하지만 소소한 배움도 이어가면서 더 단단하게 내공을 쌓아볼게요.
"Every step forward,
no matter how small,
still gets you closer to your goal."
(아무리 작은 걸음이어도, 그건 목표에 더 가까워지는 한 걸음이에요.)
여러분도 저와 함께 도저~~~ 언!!
같이 생각해 보면 길이 보일지도 몰라요. ^^
하지만 제일 중요한,
돈벌이도 생각해야 하는데..
(+ 새로 당선된 이재명 대통령께서 코스피 5000을 말하셨는데, ‘나중에 오는 박탈감을 피하기 위해 주식투자에 더 매진해야 하나…’ 싶기도 하네요. 인생은 생각할 것도, 준비할 것도 참 많지요)
[5. 눈을 뜨는, 경제] - 마케팅은 심리 설계_ 이 글을 읽고 블로그 글을 다시 쓰게 되었습니다
마케팅은 심리 설계_ 이 글을 읽고 블로그 글을 다시 쓰게 되었습니다
제가 얼마 전에 [그 병원은 어떻게 초진환자를 2배 늘렸을까?]라는 책을 읽고 엄청 놀랐어요. 이 책에서는 진료의 질도 중요하지만, '보이지 않는 설계'가 더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주었습니다.
naturalmedicine.tistory.com
[2. 정돈하는, 인간 인생 탐구] - 정치가 엉망인 건, 나라 전체의 문화(국민의 수준) 나의 시선 높이기
정치가 엉망인 건, 나라 전체의 문화(국민의 수준) 나의 시선 높이기
최진석의 대한민국 읽기_2021.5 최진석(*2017.5~2022.5 문재인 대통령)목차박스1. 국가란2. 생각이 없는 정치_프레임 씌우기3. 진영논리에 갇힌 종속적인 '빠'4. 민주화 다음은 선진화5. 개념화 하기6. 촛
naturalmedicine.tistory.com
[5. 눈을 뜨는, 경제] - 추천) 세상에..나만 몰랐던 돈 버는 이야기 _ 초진환자를 2배 늘린 병원 마케팅방법 _ 나에게 적용해보기
추천) 세상에..나만 몰랐던 돈 버는 이야기 _ 초진환자를 2배 늘린 병원 마케팅방법 _ 나에게 적용
그 병원은 어떻게 초진환자를 2배 늘렸을까?_2015 김현배 저는 블로그를 작성하죠. 책을 읽으면서 얻게 되는 지식들을 기록하고 싶어서 쓰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글 읽기에 방해되는 거추장스러
naturalmedicine.tistory.com
'5. 눈을 뜨는,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감을 가장한 불안 마케팅, 불편한 클릭 유도 (20) | 2025.07.03 |
---|---|
온라인 시장을 지배하는 사람들_트래픽(온라인 방문자, 고객) 설계자 (18) | 2025.06.21 |
마케팅은 심리 설계_ 이 글을 읽고 블로그 글을 다시 쓰게 되었습니다 (25) | 2025.06.12 |
추천) 세상에..나만 몰랐던 돈 버는 이야기 _ 초진환자를 2배 늘린 병원 마케팅방법 _ 나에게 적용해보기 (13) | 2025.05.28 |
노동이 상품이면 사람은 기계다, 인간답게 일할 권리를 묻다 (7) | 2025.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