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 눈을 뜨는, 경제

세계경제의 시한폭탄같은 변수

by 키다리 가로등 2025. 9. 24.
반응형

 
 

세계경제 지각변동
_2025.6 박종훈 
 
세계 경제는 지금 거대한 전환점을 지나고 있는 듯 보입니다. 
트럼프의 관세와 이민 정책이 불러올 인플레이션, 2025년에 몰려 있는 미국 국채 만기, 저출산의 변화를 겪는 중국의 반격까지_어느 것 하나 가볍게 볼 수 없는 변수들입니다. 
 
돈만 아는 리더 트럼프가 만든 불안정한 세계질서를 비판적으로 바라보며, 한국이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판단해 보시기 바랍니다. 

목차박스
1. 트럼프와 인플레이션의 귀환
2. 세계경제의 변수_10년물 미국채 금리
3. 중국 변수
4. 마무리

 

1.  트럼프와 인플레이션의 귀환

 

종이돈이 생기면서 인플레이션이 생겼다. 
하지만 40년 동안 아무리 돈을 풀어도 인플레이션이 나타나지 않았다. 공장이전으로 원자재와 인건비를 대폭 낮춘 덕분이었다. 대신 부동산은 제한적이므로 자산가격만 급등했다.
 
트럼프 2.0세대 인플레이션이 다시 위험해졌다. 

  1. 자국 산업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때문에 미국 내 물가가 전반적으로 상승
  2. 건설비도 상승에서 공장짓기도 어려움
  3. 이민자 유입을 막아서 인건비도 상승

 

→ 그래서 미국 안보에 의존하는 유럽/한국/일본/대만의 부를 약탈하려고 한다. (자국은 감세정책으로 하고, 타국의 부를 세금처럼 걷어들이여는 전략)
 

2. 세계경제의 변수_10년물 미국채 금리

 

미국채 금리, 미국 10년물 국채금리가 중요하다. 전 세계 금융시장의 기준점이 되니까. 미국 국채는 달러 기축통화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안전한 자산이었다. 미 국채를 해외에 팔아넘기려면 신뢰가 중요한데 이미 트럼프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
 
유럽과 중국등 많은 나라들이 미 국채를 보유하고 있는데, 2010년대 유럽의 미국채 보유량은 4300조 원으로 (달러로 사는 것임) 유럽은 미국 국채 금리 상승, 경기 침체의 방아쇠를 가지고 있다. 유럽이 재투자를 거부하면 달러패권문제가 생기고, 위험이 커진 자산에는 금리가 급등할 수밖에.
 
시한폭탄 같은 국채만기가 2025년 몰려있다. 트럼프는 금리상승 위협과 사투를 벌여야 한다. 고금리가 장기간 지속되면 이자를 갚기 위해 더 많은 빚을 지게 되는 부채의 악순환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블로그저자의 "국채" 설명]
국채에 대한 기초설명 들어갑니다 
나라는 국채, 기업은 회사채를 발행해서 자금을 조달합니다. 돈을 빌리기 위해 발행하는 유가증권, 청구할 수 있는 권리증서가 되는 것이지요. 이자받을 권리가 있는 계약서 같은 것입니다. 기업에서 발행하는 회사채는 주식발행과 달리 기존주주의 지분을 희석시키지 않고, 기업이 투자금을 얻는 방법이에요)
 

3. 중국 변수

  1. 인구구조 문제 해결 시도 : 1자녀 2자녀(2016) 3자녀(2021) 생산가능 인구는 한 나라 경제의 미래를 결정할 만큼 중요하다. 로마제국도 인구감소로 멸망했다. 저출산은 패권국가의 몰락의 길이다.
  2. 인재 회귀 : 현재 중국은 R&D투자에 집중하고 있다. (트럼프는 R&D예산을 삭감했음..) 미국 내 중국인재들도 중국으로 돌아가고, 미국내 독일인도 독일로 돌아가서 각국은 인재가 다시 유입되어 쾌재를 부르고 있다.
  3. 부동산 버블 억제 정책 : 집값 때문에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므로, 부동산 버블 억제정책을 시행해 집값이 30% 이상 하락했다. (한국은 반성해야 한다!)
미국의 장점 중국의 장점
-기축통화
-군사,지리적 우위
-기술패권
-인구구조
-제조업과 생산력(무기생산력)*
-기술추격(AI딥시크)
-트럼프의 관세짓거리*와 인재 내보내기

*트럼프의 관세짓거리 : 전 세계에 공표한 것이 마치 모두를 적대국으로 만드는 꼴.
*제조업(생산력) : 미국의 남북전쟁 시, 노예로 경제를 움직이는 농업위주의 남부보다 산업화가 가속되어 군수품 생산력이 높은 북부의 승리는 당연한 듯도 하다. 코로나 당시 미국은 지국에서 마스크 하나 생산 못하는 현실에 충격을 먹었다. 제조업은 군사력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반응형

 

4. 마무리

 
트럼프가 사업가로서 똑똑하다는 평가를 얻는 부분도 있지요, 대중의 불만을 읽고, 언론을 활용한 강한 퍼포먼스, 강한 리더 이미지 메이킹 등의 방법을 사용해서요. 세계가 "돈"에 좌지우지되는 건 맞습니다만... 장사꾼의 영리함을 넘어 정책의 깊이가 있어야 할 텐데요...그래야 전세계적으로 신뢰를 얻지 않겠어요.
 
동맹국들에게 신뢰감을 심어주지 않고...
자꾸 적대국만 만들고...
덴마크 그린란드 땅 넘보는 망언까지..
 
과거에는 미국이란 땅이 기회의 땅이었는데,
이제는 인재들과 노동자들을 내보내려고 안달이니...
 
신뢰와 인재를 잃은 나라가
어떻게 패권을 유지할 수 있을까요?
 
2025년에 미국에서 6000건의 유학생 비자가 취소되었다고 합니다. 방학에 자국으로 돌아갔다가 입국이 거부되어 그동안의 학업과 미래계획이 무너져내린 학생들이 많아졌습니다. 트럼프 행정부는 비자심사절차와 SNS검열을 대폭 강화했는데, 중국 시진핑도 아니고...참 놀랍습니다. 
 
 
[5. 눈을 뜨는, 경제] - 외국인이 보는 _ 걱정스러운 트럼프 2.0

 

외국인이 보는 _ 걱정스런 트럼프 2.0

초예측 트럼프2.0 새로운 시대_2024 투자가 경제학자등 8인(원래 박종훈님의 트럼프 2.0을 도서관에서 빌려볼려고 했는데 대기가 꽉 차서 차선으로 이 책을 희망도서 바로대출로 서점에서 빌렸네

kidarilight.com

 
[5. 눈을 뜨는, 경제] - 한국인이 보는 _ 트럼프 2.0

 

한국인이 보는 _ 트럼프 2.0

트럼프 2.0_2024.11 김광석, 박세익, 박정호, 오태민 (+토론) 2020~2024년은,팬데믹 경제위기, 유례없는 유동성 장세,초인플레이션 + 러우 전쟁 + 중동 전쟁초긴축 통화정책. 2022년을 기점으로,세계는 저

kidarilight.com

 
[5. 눈을 뜨는, 경제] - 트럼프시대 2025, 세계 경제의 전환점, 한국 정부가 각성하고 할 일

 

트럼프시대 2025, 세계 경제의 전환점, 한국 정부가 각성하고 할 일

트럼프 2.0 시대_2024 박종훈 트럼프가 돌아왔다. 트럼프의 보호무역(관세),이민정책, 감세정책(관세로 대체불가)으로인해 앞으로 미국 내 물가상승(인플레이션)이 우려된다고 합니다. 게다가 미

kidarilight.com

 
[5. 눈을 뜨는, 경제] - 돈의 미래 (2020)_ 짐 로저스

 

돈의 미래 (2020)_ 짐 로저스

지은이 짐 로저스 : 워런 버핏, 조지 소로스와 함께 세계 3대 투자자로 불린다. 조지소로의 회사에 채용되어 일하다가 나중에 그와 공동으로 퀀텀펀드를 설립했다. 37살에 은퇴하여 현재 가족과

kidarilight.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