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방약리학2

한방약리학_약과 독 사이_결명자도 과하면 간손상 한방약리학_(2005년 초판) 2010년 3판 한방약리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약은 사람들이 쉽게 접근하지 않아요. "보신용", "비싸고 효과가 미심쩍은 약"이라는 인식이 있어서요. 이 책은 현대의 여러 질환 질병들에 대해서한방과 양방의 관점을 동시에 제시하고, 한약의 작용 기전, 성분, 약물간 상호작용, 독성 등을명확히 풀어주기 때문에 한약에 대한 미심쩍은 부분을 어느정도 해소시켜 주고, 한약의 성분과 약리작용을 세세히 설명되어 있어 좋았습니다. 한약재에는 우리가 흔히 먹는 식자재도 있어요.예를 들자면, 차로 끓여 먹는 결명자가 있죠. 결명자는 간을 보호하고, 눈에 좋다고 해서 마시지만, 용량과다, 장기복용, 체질부적합과 같은 이유로 결명자, 하수오, 대황, 택사 등은 오히려 간손상 유발물질이기도 해요. 정.. 2025. 7. 1.
체질별 증상, 한약재, 그리고 운동, 한방의 지혜를 일상에 쓰는 법 한약재에 관심이 있어 책 두 권을 도서관 상호대차로 빌려왔어요. 오른쪽 책 [한방약리학]은 현대의학적 연구방법으로한약의 작용 기전을 설명하는 책입니다. 전통의학에 현대의학이 결합된 책이에요. 너무 궁금하지 않나요?? (이 책의 내용은 다음 글에 알려 드릴게요) 오른쪽 책 [한약재와 한방약 도감사전]은 한약재를 도감처럼 그림과 함께 정리해놓고, 증상별로 어떤 한약이 사용되는지 쉽게 소개하고 있어요. 일반인도 부담 없이 볼 수 있어서 좋습니다. 두 책 모두 소장해두고 필요할 때마다 펼쳐보고 싶은, 실용적인 한의학 책이에요. 너~무 궁금하시죠? 책을 통해서,우리 각자의 체질을 파악하고해결책을 찾아 보자고요. ^^ [한약재와 한방약 도감사전]_2023 다나카 고이치로 /펴낸 곳 : 한국티소믈리에연구원 (www.. 2025. 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