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 힘이 되는, 육아 교육 인사이트

소비사회 속 돈의 감각이 사라진 초등학생, 용돈교육이 필요한 이유

by 키다리 가로등 2025. 10. 16.
반응형

 
 

용돈 교육의 마법
_2018 김영옥
 

생각 없는 소비, 아이들의 새로운 일상

전 다이소에서 생각 없이 물건을 사재끼는 초등학생,
오로지 포카를 위해 아이돌음반을 사는 아이들,
인형 뽑기 방에서 1~2만 원 쉽게쓰는 초등학생들을 보며 감각이 마비된 소비위주의 삶과 환경이 걱정이 됩니다.
특히 인형뽑기방은 사행성과 중독성 문제도 있으니까요. 사회가 만든 또 다른 도박의 축소판일지도요.
 

현금 없는 세대, 사라진 돈의 감각

더해서, 요즘 아이들은 현금을 가지고 다니지 않아요. 카드를 들고 다녀야 훔쳐가지도 않는 장점이 있어 카드를 쓰기에, 더 돈 개념이 없습니다. 본인이 얼마짜리를 사는지도 모르고 그냥 막...
 
"경제는 생활 속 습관화 체험이다.
어릴 때부터 경제를 잘 가르쳐야 한다"_앨런 그리스펀
 
[아이들에게 물고기를 잡아줄 게 아니라 물고기 잡는 법을 알려줘야 하듯이 용돈 교육을 통해 행복한 부자가 되는 법을 가르치자. 경제 습관이 잘못되면 인생이 망가진다.] 라고 저자가 말합니다.
 

반응형

 

목차박스
1. 용돈교육
2. 우리가족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비용
3. 홈알바?
4. 마무리_아이 통장

 

1. 용돈교육

부모와 동행을 벗어나 혼자 등하교하는 초1~2 때가 적당하다. 용돈으로 필요한 것을 사되, 일정금액은 저축하도록 일주일 간식비(2,000원) + 저축까지 포함하여 주 3,000원이 적당하다. 일주일 용돈은 4학년은 4천, 5학년은 5천, 6학년은 6천 원.
 
아이에게 인위적 결핍이 필요하다. 그래야 선택에 책임을 느끼고 동기부여가 된다. 
 
지출과 저축을 적절히 체험하게 하자. 무작정 아끼거나, 신나게 인심 쓰지 않도록 원칙을 세우고 지키게 하자.
 

2. 우리 가족이 생활하는데 필요한 비용

관리비, 전기요금, 통신비, 세금, 생활비 등 매달 지출해야 하는 돈의 규모를 알려주자. '가족의 경제 현실'을 이해하는 첫걸음이자, 돈이 나가는 구조를 체감해야 비로소 절제와 감사의 감각이 자란다.
 

3. 홈알바?

책에서는 홈알바를(실내화 빨기, 운동화 빨기, 설거지 등) 추천했지만, 솔직히 부모의 수고에 감사하기보다 그냥 돈 받을 생각만 할 듯해서 저는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더군요. (아이마다 다를 듯)

집안일은 가족구성원으로서 당연히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책임감에서 "함께 사는 법을 배우는 과정"을 익히는 것이지요.
 
책에서도 아래와 같이 말했습니다. 
[내 경험상 물질적 보상의 경우 약발이 오래가지 않는다. 물질보다 효과가 큰 것이 칭찬이다. 칭찬은 귀로 듣는 보약이다. 용돈교육에 아낌없는 칭찬을 해주자]
 

4. 마무리_아이 통장에 '습관'을 넣자


돈은 단지 수단이 아니라,
자기 삶을 책임지는 힘입니다.
 
경제습관이 탄탄하면 인생을 만드는 근육이 탄탄해지는 것이겠죠. 그래야 사회에 나가서 돈에 휘둘리지 않고, 돈을 다스리는 어른이 됩니다. 
 
그리고 부모가 추가로 현재 할 수 있는 건
이 이름의 예적금계좌, 증권계좌 만들기
 

  • 예적금 통장
  • ETF
  • 주택청약종합저축 (만 19세 이상)
  • 보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