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제감2 놓아주는 엄마, 주도하는 아이_ 통제감 놓아주는 엄마, 주도하는 아이_2022 윌리엄 스틱스러드, 네드 존슨 이 책의 가장 큰 목표는,아이들이 스트레스 내성을 길러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좋은 성과를 올리고, 부모가 스트레스를 떨치도록 돕는 것이다. 모든 스트레스 요인에서 아이를 보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스트레스를 없앨 수는 없어도 활용할 수 있다. 부모가 극성이면 아이는 오히려 약해진다. 계속 보호만 받으면 아이들은 오히려 불안해진다. 스스로 상황을 처리할 수 없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스트레스 내성을 키워야 한다. 이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두뇌는 실제로 더 유연하게 대처하며 면역력이 생기게 된다. "삶의 통제감 = 스트레스 해독제"→ 스스로 깨닫도록 충분한 자유를 주고 존중하자. 삶의 통제감을 통해 강화된 두뇌의.. 2024. 8. 21. 인간 기본욕구 통제감_ 루틴을 만들자 강인함의 힘_2022. 스티브 매그니스 이 책에서 말하는 강인함은 터프한 게 아니라, 내면의 힘이 강한 사람을 말합니다. 통제감, 인간의 타고난 욕구 연구에서 밝혀진 바에 따르면 인간 역시 선택권이 없는 통제 불능의 환경에서는 무기력하게 고통을 견디는 실험실의 개와 다를 바 없다. 선택권이 없다고 느낄 때 사람은 무기력해진다. 운동하러 집 밖에 나가거나 저녁에 설거지하는 일조차 많은 이들이 힘들어하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사람들은 의지 결핍이니 동기 부족이니 하며 비난하지만, 사실은 인생을 자신이 어찌하지 못한다고 느낄 때 우리 뇌는 매사 의욕을 상실한다. 우리가 학습할 것은 무기력이 아니라 희망이다. 전쟁에서 사병그룹, 무전병그룹, 장교그룹의 스트레스 수치를 분석했을 때, 사병그룹이 제일 스트레스 .. 2024. 7.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