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립학교2

상위 1%들이 장악하는 세계 _ 변화해야 할 때 특권계급론2024 클라이브 해밀턴, 마이라 해밀턴 엘리트 특권을 유지하고, 재생산하고, 정당화하는 관행, 규범, 제도, 태도 등 특권기계의 부품들의 작동과정을 알아보자. 소득 최상위(1~0.1%)는 자신들의 소득과 부를 자본수익(배당금, 이자, 자본이익(양도소득))에서 끌어낸다. 상위 9%는 "의사, 변호사, 상인, 레스토랑 주인, 기타 자영업자"가 자리한다. 연봉소득에 의지하므로 1%의 성층권에는 올라가지 못한다. 우리는 부유층 엘리트에게 주로 관심의 초점을 맞추지만, 정치, 관료제, 언론, 문화, 학계 등에서 영향력 있는 인들들도 특권을 누린다. 경제자본 외에도 엘리트들은 사회자본(관계 네트워크), 문화자본(교육성향, 위향, 고상한 문화형식, 지식), 상징자본(수상 경력등 정직과 도덕적 자질로 이미.. 2025. 4. 15.
비추) 초등 공부정서 키우는 방법 늦기 전에 공부정서를 키워야 합니다_2023 김선호 15년 사립초 교사의 관찰결과 공부정서가 있으면 선행이 아무 문제가 되지 않는구나.공부정서가 있으면 저절로 앞선 공부를 하는구나.공부정서가 있으면 학습격차를 금방 따라잡는구나.공부정서가 있으면 학원을 스스로 선택할 때도 있구나.공부정서가 있으면 사회성도 참 좋구나.공부정서가 있으면 예체능에도 성취도가 높구나. 우리 아이 공부정서, 초등 6학년 전에 키워야 합니다. 사립초 코로나 때 공립초는 사실상 방치에 가까웠다. (이건 저도 동감) 사립초는 생존을 위해 교육한다는 특수성이 있어서 (존폐위험) 교육에 필사적이다. 대다수가 방과 후 영어를 1학년부터 듣고, 최소 50% 이상은 학원에서 평균 2년정도 선행한다. (선행에 대한 안 좋은 시선도 있지만, 이.. 2024.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