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인지3 초등때 공부습관 잘 들이는 방법 - 자기주도학습의 길 초등공부습관 바이블 _ 2022 하유정 성공한 삶은 태도와 습관으로 결정된다. 뛰어난 머리가 아니다. 인지능력은 성공에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 인지능력이 발휘되려면 비인지능력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빛나는 지능을 가졌어도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거나, 감정 전달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은(분노폭발 등) 그 지능이 발휘되지 않는다. 똑같이 하는데 탁월한 결과를 내는 아이는 무엇일 다를까? 바로긍정성, 자율성, 근성, 회복탄력성이다. 1. 긍정성(자기효능감)1. 잘 할 수 있다는 믿음이 공부를 이끈다. 2. 작은 성공경험을 만들어 주거나, 친구 또래의 성공경험을 보여주면 '나도 할 수 있겠는데?'라는 마음이 생긴다. 3. 지능(능력)을 칭찬받은 아이는 열심히 노력하면 오히려 사람들이 똑똑하지 않다고 여길까 봐 .. 2024. 9. 27. 미래학교 _ EBS다큐프라임 EBS다큐프라임에서 2019년에 방영된 [미래학교]입니다. 책으로도 나와있네요. 노르웨이, 싱가폴, 인도, 한국의 학생들이 미래학교를 체험하는 과정을 보여 줍니다. → 진도와 학습목표 위주의 전달식 수업에서 아이들은 질문할 공간을 찾지 못한다. 선생님의 강의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시간을 갖지 못하는 것이다. → 참가자들이 AI기반의 문제를 꼼꼼히 푸는 것만으로 성적이 가파르게 올랐다. 그중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메타인지의 상승이다. AI기반의 학습사이트는 학습자가 오답을 내는 유형의 문제를 집중적으로 낸다. 동영상을 반복해 보며 개념까지 이해하게 된다. AI기반의 학습 사이트를 통해 비슷한 실력의 아이들이라도 모두 다른 난이도의 문제를 자신만의 속도로 풀고 각자의 오답 노트를 만들 수 있었다. .. 2023. 3. 31. 메타인지 학습법- 하브루타 ebs부모특강에서 리사 손 교수님의 메타인지 강의를 본 적 있습니다.메타인지란 내가 아는지 모르는지 내가 인지하고 있는 것.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것. “너 자신을 알라” self- reflection. 공자는 아래와 같이 말했었죠. “알고 있는 것을 ‘안다’고 말하라.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말하라. 그것이 ‘안다’는 것이다.”내가 모르는 걸을 정확히 알고 대처하는 메타인지를 공자는 이미 알고 있었습니다. 선생님 놀이처럼 말로 하면 내가 무엇을 알고 무엇을 모르는 알 수 있습니다. 메타인지는 대부분 사람들에게 초능력을 부여합니다. 메타인지 학습법*모니터링: 자신의 인지가 정확한지 확인단계. *컨트롤: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행동이나 공부를 조절하는 단계. 쉽게 말해서,수학문제를 푸는데내가 어떤 부분에서.. 2022. 2. 1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