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루틴 만들기3

놓아주는 엄마, 주도하는 아이_ 통제감 놓아주는 엄마, 주도하는 아이_2022 윌리엄 스틱스러드, 네드 존슨 이 책의 가장 큰 목표는,아이들이 스트레스 내성을 길러 스트레스 상황에서도 좋은 성과를 올리고, 부모가 스트레스를 떨치도록 돕는 것이다. 모든 스트레스 요인에서 아이를 보호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스트레스를 없앨 수는 없어도 활용할 수 있다. 부모가 극성이면 아이는 오히려 약해진다. 계속 보호만 받으면 아이들은 오히려 불안해진다. 스스로 상황을 처리할 수 없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스트레스 내성을 키워야 한다. 이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면, 두뇌는 실제로 더 유연하게 대처하며 면역력이 생기게 된다. "삶의 통제감 = 스트레스 해독제"→ 스스로 깨닫도록 충분한 자유를 주고 존중하자. 삶의 통제감을 통해 강화된 두뇌의.. 2024. 8. 21.
결국 해내는 사람들 _ 선택과 집중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_2016 앨런 피즈, 바바라 피즈 목록 만들기의 위력목표를 쓰는 것은 잠재 의식에게 쉬지 말고 공든 탑을 쌓으라는 지시를 내리는 것과 같다. 백만장자와 억만장자의 차이는 손으로 쓴 계획서 유무의 차이가 크다. 목표 목록에 항목을 추가하면 관련 정보가 사방에서 보이기 시작한다. 인생의 성공은 재능의 문제라기보다 계획과 실행의 문제다. 데드라인이 없는 계획은 계획이 아니다. 인생 미션 찾는 방법이렇게 자문해 보자. 과거에 내가 열중한 일이 있었나? 기회가 되면 보수 없이도 하고 싶은 일이 있었나? 있었다면 무엇이었나? 과거를 돌아보자. 바로 그 영역에서 찾아야 한다.보수 없이도 하고 싶을 만큼 좋고, 동시에 보수를 받고 할 만큼 잘할 자신이 있는 것을 한 가지 꼽는다면?여기 말.. 2024. 6. 26.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 만일 내가 인생을 다시 산다면-2022 김혜남 정신분석 전문의인 저자는 마흔세 살에 파킨슨병을 진단받고 인생의 소중한 것들을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고 합니다. p137 인간은 관계속에서 살아가고 성장한다. 너무 헐거우면 외롭고, 너무 밀착되면 질식된다. 그 간극을 메워주는 게 바로 가까이 두고 오래 사귄 친구이다. 버팀목. 생텍쥐페리" 좋은 벗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공통된 많은 추억, 함께 겪은 그 많은 괴로운 시간, 그 많은 어긋남, 화해, 마음의 격동, 우정은 이런것들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 결혼, 출산 이후에는 먹고살기 바빠서, 육아에 허덕여서, 할 일이 많아서 등등의 현실적 이유로 정신없이 살게됩니다. 그러다 생각나는 게 친구인것 같습니다. 전화해서 옛 추억 꺼내며 웃을 수 있는 친구는 나.. 2023. 7.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