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의 기록법
_20253.24 김지원, 김혜원, 도헌정, 허완, 조성도, 김희라, 오별님, 윤성원, 김송희, 손현
1.에디터라는 직업, 알고 계셨나요?
- 세상 돌아가는 사정을 대략 알고 있고, 어떤 주제로도 대화가 가능하다.
- 과거에는 출판편집자라는 좁은 의미였지만, 지금은 디지털 콘텐츠 시대의 핵심 직업인 듯.
- 콘텐츠 기획자, 캐스팅 디렉터, 헤드헌터와도 비슷하다. 기획자형 인간.
- 블로그, 뉴스레터, SNS등 다양한 매체에 맞게 최적화
- 릴스/숏폼 영상이 누군가에게는 중독이자 낭비이지만 편집자는 필요한 정보를 쏙쏙 골라낸다. 이런 습관화된 인풋이 기획할 때 레이더로 작동한다.
- 에디터의 안목이 곧 콘텐츠 비즈니스의 성패를 결정한다.
- 사람과 사람, 콘텐츠와 사람을 연결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2. 에디터의 기록 도구들
- 인스타그램-설정-내활동-좋아요 → 다시 보기 가능
- 이미지 찾기 : 핀터레스트, 인스타그램, 국내외 아티스트 에이전시 홈페이지
- 카톡채팅장, 폰 메모장
- 에버노트나 원노트 등 디지털 전용툴에 365개 문서 생성해놓고 일기 쓰기, 쓰는 것만으로 모든 스트레스가 사라짐.
- 노션(대량가능, 여럿이 공유가능)
- 좋은 콘텐츠를 꾸준히 접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는 페이스북과 '사람'중심 구독 (아래 이미지 참고)
- 좋은콘텐츠에 '좋아요' 를 누르면 알고리즘 최적화되어 더 용이.
3. 기록의 기술
- 자신의 언어로 기록하기 (발췌+요약+리라이팅 습관 들이기) → 콘텐츠 제작에 도움
- 생각이 정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키보드보다 손으로 글을 쓰는 걸 권함.
- ①글에 담을 내용을 모두 나열하고 ②생각이 흐르는 대로 끝까지 쓴 다음 ③번호를 붙이면서 순서를 다시 맞춘다.
- 팔리는 콘텐츠에는 '신선함'과 '재미'가 있다. 재밌는 글의 필요조건은 '솔직함'이다. 기록이 유의미하려면 솔직해야 한다.
- 뉴스레터는 간결, 명확해야 한다.
4. 기록의 효과
"기록은 반드시 내가 의식하고 쓴 것, 그 이상을 내놓는다."
"미래는 결국 매일매일을 기록하고 들여다보는 사람, 위기 상황에서 그 어느 때보다 '현재'에 대해 알고 싶어하는 사람의 것이다."
"좋은 콘텐츠를 통해 만들어진 좋은 연결이 결국에는 우리의 삶을 더 나은 방향으로 이끈다는 사실을 지난 10여 년간 디지털 콘텐츠 업계에서 일하며 꾸준히 피부로 체감했다."
5. 마무리
일단 에디터라는 직업에 대해서 알아가는 재미가 있었습니다. 인터넷에는 너무 많은 것들이 넘쳐나는데, 그 와중에 좋은 콘텐츠만 쏙쏙 골라 볼 수 있는 시스템도 얻어갈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인스타그램의 릴스도 가끔보면 유익할 때도 있더라고요, 영어공부하기나, 오늘 저녁메뉴 정할 때. ^^ 하지만 20분, 30분 이런 식으로 정해놓지 않으면 릴스나 숏폼은 진짜로 ‘시간 잡아먹는 괴물’이니 조심해야 합니다.
넘쳐나는 콘텐츠, 더군다나 AI까지 합세하여 콘텐츠를 양산하고 있는 지금 이 시점에서 핵심을 짚어주는 에디터가 미래에는 더 필요하게 될 것 같습니다. 다 똑같은 글이 아니라, 가치 있는 글이 필요한 지금입니다. 미래엔 개개인 모두가 에디터가 되어있지 않을까 싶어요.
에디터가 되고 싶다면, 블로그나, 일기 같은 글을 쓰는 것을 습관화해 보세요. 굳이 에디터가 되지 않더라도 글을 쓰는 능력은 여러모로 쓸모가 많을 것 같네요.
이순신장군처럼,, 무언가를 기록하다보면 통찰력이 생깁니다.
[생각의 도약]_2025 도야마 시게히코 _책에도 에디터에 대한 아래와 같은 글이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재미있다고 생각해서 주의 깊게 모은 지식이나 생각이 몇 가지 있다고 하자. 이것을 그대로 노트에 재워두면 아무리 많은 것을 알고 있어도 그 사람은 그저 박식한 사람에 지나지 않는다.
‘지적 에디터십’, 다시 말해 머릿속에서 칵테일을 만드는 데는 자신이 얼마나 독창적인지 그리 중요하지 않다. 자신이 가진 지식을 어떤 조합으로, 어떤 순서로 나열하느냐가 중요하다. 기존의 지식을 편집하여 새로운, 지금까지와는 전혀 다른 가치가 있는 것으로 만드는 것이 ‘지적 에디터십’기법이다.
다음은 유명한 시인 학자가 말한 창조 방법이다. 가장 먼저 뭔가를 생각한다. 그리고 머릿속에 떠오르는 모든 것을 하나하나 카드에 받아 적는다. 카드가 많이 만들어지면 이를 카드놀이하듯 재미있어 보이는 순서대로 나열한다. 그렇게해서 순서가 정해지면 다시 검토하고, 마음에 들 때까지 카드를 섞고 나열하기를 반복한다]
>> 포스트잇을 사용하면 편리하겠네요.
일전에 소개해 드린 옵시디언도 창작자들에게 아주 유용할 듯 싶습니다. 옵시디언 관련내용은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2. 삶을 정돈하는, 인간 인생 탐구] - 정확한 전문 지식을 알려주는 퍼플렉시티(챗GPT와 차이점), 통찰력을 만드는 지식 편집기 옵시디언 알아가기
정확한 전문 지식을 알려주는 퍼플렉시티(챗GPT와 차이점), 통찰력을 만드는 지식 편집기 옵시디
퍼플렉시티(Perplexity)2022년 8월 설립, 12월 7일 서비스. 오픈AI출신 엔지니어가 만든 인공지능 챗봇입니다. 챗GPT 등 다른 챗봇과 다른점은 전문지식+ 답변의 출처를 알려준다는 것입니다. 기본 답변
naturalmedicine.tistory.com
아래 글도 참고해 보세요.
거인의 노트, 꿈을 현실로 만드는 법 - https://naturalmedicine.tistory.com/m/204
거인의 노트, 꿈을 현실로 만드는 법
(잘못 큰글씨책을 상호대차 신청하여...책이 제목처럼 엄청 컸어요 ^^;;)거인의 노트_2023 김익한 나는 간절히 성장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공부, 대화, 생각, 일상, 일의 다섯 영역에서 '기록, 반복,
naturalmedicine.tistory.com
[5. 경제] - 달라질 2040 자본주의, 기업의 변화
달라질 2040 자본주의, 기업의 변화
자본주의 대전환 (하버드 ESG경영수업)_2020 리베카 헨더슨 환경, 기업, 우리 모두가 윈윈 하는 것은,주주우선주의를 폐기하고,자본주의를 공공의 목적을 추구하는 체제로 전환하는 것. 올바른 일
naturalmedicine.tistory.com
[3. 육아 및 교육] - 커뮤니티 공부의 레버리지 효과_미래 생존 전략
커뮤니티 공부의 레버리지 효과_미래 생존 전략
홀로 성장하는 시대는 끝났다_2019 이소영"이 책은 모든 커뮤니티 리더와 함께 만들어낸 집단지성의 힘이다"저자가 속한 소프트웨어 업계의 사례가 주를 이루었지만, 그 어떤 영역에서도 가능한
naturalmedicine.tistory.com
'2. 정돈하는, 인생 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비는 감정이다_마케팅을 넘어 인간을 읽다 (11) | 2025.05.21 |
---|---|
질문하는 자에게는 한계가 없다 _ 롱윈 사고가 말하는 진짜 성장의 길 (12) | 2025.05.20 |
상위 1%들이 장악하는 세계 _ 변화해야 할 때 (3) | 2025.04.15 |
AI시대 책을 더 읽어야 하는 이유 _ 책쇼핑 하기 (1) | 2025.04.01 |
걱정 많은 사람들은 보세요. 한 방의 해결책 (1)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