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머니인류의역사2

대부분의 혁명은 돈 때문이다_화폐의 세계사 머니: 인류의 역사_2025 데이비드 맥윌리엄스 "로마제국 멸망과 화폐가치 하락은 아주 밀접한 관계" "다윈의 진화론은 경제학 관점에서 나옴" "예술호황기는 모종의 신용부도스와프로 촉발된 것"(신용부도스와프: 기업이나 국가의 채무불이행 위험을 보험처럼 보장하는 파생상품) "한 사회를 무너뜨리는 가장 쉬운방법은 "화폐남발" "그리스문명은 상업과 주화로 지탱되었고,로마제국은 정복이 아니라 신용을 토대로 세워졌다" "금본위제(1850~1914)는 오랜기간 통화보수주의와 작은정부의 구성요소" 이런 얘기 들으니 이 책이 많이 궁금하시겠죠?돈의 역사, 즉 인류의 역사를 따라가다보면,인류는 돈을 자양분삼아 생존하는 종이란 것을 알게되실 거예요. 돈은 끊임없이 순환하면서 인류를 움직이는 힘이 됩니다. 목차박스1. 로.. 2025. 10. 27.
우리가 미워한 건 자본주의가 아니라 "패거리 자본주의" 자본주의자 선언_2025 요한 노르베리 (2022년 영국 출간) 우리는 과거보다 많이 풍요로워졌습니다. 하지만 효율성을 극대화시키는 자본주의 때문에빈부격차, 불평등, 기후변화 등이 생겼다고 생각하지요. 정말 자본주의가 문제일까요?자유가 억압된 체제가 문제일까요? 목차박스1. 자유가 없는 약한 국가2. 복지의 덫3. 부자는 착취해서 돈을 버는가?4. 불평등이 문제인가?5. 정경유착이 문제이다6. 정부주도 vs 시장주도7. 환경 vs 성장8. 마무리 1. 자유가 없는 약한 국가p17 하지만 세계를 연구하면서 오히려 시장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 사회일수록, 엘리트만이 가장 강한 권력을 행사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p56 라틴아메리카는 경제와 수출이 좋아져도 국민생활이 나아지지 않았다. 스페인과 포르투갈로부터 .. 2025. 10.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