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 같이 알자, 일상 생활 꿀팁+ IT

AI가 내 글을 검색하는 비밀: 스키마 마크업 단 1분 적용법

by 키다리 가로등 2025. 11. 20.
반응형

 

AI가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면서, 이제 글을 쓰는 방식도 조금씩 달라지고 있습니다.

 

특히 블로그처럼 정보가 많은 공간에서는 AI가 글을 구조적으로 읽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키마 마크업이 큰 역할을 합니다.


처음 보면 낯설고 어려워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글 끝부분에 코드 한 줄만 넣어주면 끝나는 아주 간단한 작업이에요.

 

목차박스
1. 스키마 마크업이란
2. 티스토리에 스키마 마크업 넣는 방법 (진짜 쉬움)
3. 나중에 수정할 수 있는 부분
4. 스키마 코드의 이해
5. 마무리

 

1. 스키마 마크업이란? (초간단)

검색엔진에게 “이 글은 이런 구조로 되어 있어”라고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설명해주는 코드(JSON-LD)입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은 효과가 있어요.

  • 구글/네이버가 글을 더 정확하게 이해
  • AI 검색에 유리 (구조화된 정보 우선 활용)
  • 리뷰·제품비교·레시피·FAQ 같은 글은 CTR 상승
  • 표/데이터/요약글은 검색에서 가중치 증가

2. 티스토리에서 스키마 마크업 넣는 방법 (진짜 쉬움)

방법은 하나, 글 하단에 HTML 모드로 JSON-LD 코드 넣기

  • HTML 모드에서 맨 아래 넣기
  • <script> 태그는 본문에서 절대 노출되지 않음
  • 하나의 글에 Article + Dataset + FAQ까지 중복 적용 가능

생소한 언어가 많아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쉬운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그럼 본인의 글을 챗GPT에게 던져주고, 스키마 마크업을 생성해 달라고 하셔도 됩니다. 

 

  1. 티스토리에서 글 열기 →챗GPT에게 스키마 코드 생성 요청
  2. 티스토리 글 수정 클릭 → 챗GPT가 생성한 '코드 복사'
  3. 우측 상단에서 HTML 모드로 전환
  4. HTML 화면에서 맨 아래로 스크롤 내려가기
    • 본문 끝난 뒤, 잡다한 코드들(div, span 등) 지나
    • 제일 마지막 부분에 커서를 둔다
  5. 거기에 아까 복사한 <script type="application/ld+json"> ... </script> 전체를 그대로 붙여넣기
    <script>는 독자에게 보이지 않고, 검색엔진만 읽는 코드입니다.
  6. 다시 기본모드로 돌아오기 : 기본모드 화면에는 아무 변화가 없어야 정상이에요
  7. 글을 저장/발행하면 끝

 

3. 나중에 수정할 수 있는 부분

  1. 글 수정 시 → dateModified 만 날짜 바꿔주면 좋고
  2. 키워드 추가/삭제 → "keywords": [...] 안에 단어만 필요에 따라 바꿔도 됨
  3. 글 설명 바꾸기 → "description"만 적절하게 보완

 

4. 스키마 코드의 이해

☆필수 항목 (없으면 스키마 오류)

  1. "@context": "https://schema.org" : 이것은 스키마의 문법 기준으로, 안 넣으면 스키마 자체가 실패.
  2. "@type": : Article / BlogPosting / Person / FAQPage / Dataset 등 유형을 나타냅니다. 검색엔진은 이 값을 보고 “이건 글이다 / FAQ이다 / 표 데이터다” 등을 판단하지요. 데이터 종류를 선언하는 것으로 이게 없으면 검색엔진이 무엇을 표현한 건지 몰라요.
  3. "headline" : 글의 제목은 기사, 블로그 스키마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4. "author": 작성자 정보로, 구글은 글을 누가 썼는지 식별하는 걸 매우 중요하게 봅니다. 
  5. "datePublished" : 글 최초 발행일을 말한다. 검색엔진이 최근 글임을 판단하는 기준이다.

추천 항목 (SEO·AI 적합도 크게 올라감)

  1. "dateModified": 글 수정일이다. 글을 편집할 때마다 갱신하면 SEO에 긍정적이다. 
  2. "articleSection": 이 글이 속한 카테고리로, 티스토리 카테고리와 일치시키면 된다. 검색엔진이 글의 주제군을 판단하는 데 사용한다. 
  3. "keywords": AI용 태그 개념
  4. "about": 글의 핵심 주제를 명확하게 설명한다. 검색엔진이 글의 의도·주제를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고, “이 글은 어떤 분야에 대한 글인가?”를 AI에게 알려주는 구조화된 정보이다. 
  5. mainEntityOfPage : 어떤 페이지를 설명하는지 명확히 해줌.
  6. publisher : 블로그 브랜드면, 사이트 신뢰도 + 저작권 명시
  7. description : 글 요약, 검색결과 스니펫에 반영 가능
반응형

 

5. 마무리

 

우리는 늘 “사람이 읽기 좋은 글”만 고민해 왔지만, 이제는 “사람도 읽고, AI도 읽는 글”을 함께 고려해서 작성해야 합니다. 

스키마 마크업은 거창한 개발 언어가 아니라, 그 구조를 AI에게 조금 더 친절하게 알려주는 작은 메모 같은 것이더군요. 뜻밖에도 그 작은 메모가 글의 가치를 훨씬 더 멀리, 더 정확하게 전달하도록 도와줍니다.

요즘은 AI가 검색을 하니까요.

 

너무 빠르게 변해가는 시대,

너무 막막하다고만 느끼지 마시고,

작은 기술 하나를 익히는 용기를 내어 보세요.

 

오늘 이 글이 그 작은 첫걸음을 내딛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7. 같이 알자, 일상 생활 꿀팁+ IT] - 챗GPT_ 이미지 생성 핵심 프롬프트, 이미지 수정도 가능하다

 

챗GPT_ 이미지 생성 핵심 프롬프트, 이미지 수정도 가능하다

이게 되네? 챗GPT 미친 활용법 51제_2024 오힘찬 처음 챗GPT로 이미지 생성을 요청했을 때,시간은 오래 걸리고,만족하는 이미지는 나오지 않고,좀 답답했어요. 그래서 [이게 되네? 챗GPT 미친 활용법 5

kidarilight.com

 

[7. 같이 알자, 일상 생활 꿀팁+ IT] - 내게 맞는 AI찾기_챗GPT, 퍼플렉시티, 클로드, 코파일럿, 제미나이_다 잘함

 

내게 맞는 AI찾기_챗GPT, 퍼플렉시티, 클로드, 코파일럿, 제미나이_다 잘함

챗GPT · 퍼플렉시티 · 클로드 · 코파일럿 · 제미나이 다 잘함_2015.1.15 이호정 AI플랫폼이 너무 많다 보니까나에게 어떤 것이 맞을지 선택하기 어려우실 거예요.다 결제하며 쓰기엔 가격도 부담스

kidarilight.com

 

[2. 정돈하는, 인생 탐구] - AI를 잘 쓰는 사람 vs 못 쓰는 사람 _ 듀얼 브레인

 

AI를 잘 쓰는 사람 vs 못 쓰는 사람 _ 듀얼 브레인

듀얼 브레인_2024 이선 몰릭 (국내 2025.3.19)_AI시대의 실용적 생존 가이드 2022년 11월 챗GPT가 출시된 직후부터,저자는 뜬눈으로 밤을 지새웠다고 합니다. 3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챗GPT5가 나왔죠. 발

kidarilight.com

 

[7. 같이 알자, 일상 생활 꿀팁+ IT] - 챗GPT 최고의 프롬프트 예시 모음 _ 프롬프트 맞춤 설정하기

 

챗GPT 최고의 프롬프트 예시 모음 _ 프롬프트 맞춤 설정하기

솔직히 저도 챗GPT를 잘 사용하지 않았어요. 그런데 요즘은 이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금방 뒤처질 것처럼 느껴지더군요. 활용분야가 무궁무진하기 때문입니다.1. 내 개인비서 ChatGPT 사용하기초기

kidarilight.com

 

[7. 같이 알자, 일상 생활 꿀팁+ IT] - 유튜브 영상, 누가 대신 요약해줬으면...? 챗GPT로 간단 해결!

 

유튜브 영상, 누가 대신 요약해줬으면...? 챗GPT로 간단 해결!

유튜브에는 유익한 영상들이 많아요.저는 필기를 하면서 보기도 하는데 가끔은"누가 알아서 요약 정리해 줬으면 좋겠다" 싶어요. 긴 영상을 몇 배속으로 보다 보면,시간이 지나면 금방 잊혀지잖

kidarilight.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