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번아웃2

바둑이 가르쳐준 삶의 정수_완벽한 수보다 연결의 수를 두자 이세돌, 인생의 수 읽기_ 2025.8 이세돌 2016년, 알파고와의 대국30대 젊은 시절의 그는 우리보다 먼저 AI가 바꿀 미래의 삶을 진지하게 생각했을 거예요.저랑 동갑이어서 (심지어 생일도 며칠 차이 안 남) 그의 인생은 어땠을까 더 궁금하기도 합니다. 지금 우리는 각자 미래의 일자리를 걱정하고,자녀들의 삶의 방향을 고민합니다. 결국 답은 단 하나-"가장 나다운 선택이 가장 최선의 수다" 목차박스1. 언제든 반격할 수 있음을 알리자2. 유한한 집중력을 분배하라_시간은 공평하다3. 허무한 실수_'이정도면 괜찮겠지'의 함정4. 기세싸움5. 일인자도 열 판 중 두 판은 진다6. 슬럼프는 나의 기준선이 무너졌을 때 온다7. 실전에 강한 수8. 정수9. 승부사 사고법10. 마무리 1. 언제든 반격할 수 있.. 2025. 10. 29.
성과사회의 번아웃, 피로사회에서 벗어나기 얇고 짤막한 철학책입니다. 과거에 사라진 규율사회는 지배자가 피지배자에게 노동을 시켰다. 현대는 그 자리에 성과사회가 들어서면서, 스스로를 '성과주체'라고 인식하며 스스로의 CEO가 되려 하였다. 스스로가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가 되어버린 이상한 사회. 목차박스1. 과거의 규율사회2. 현대의 성과사회3. 피로사회4. 마무리 1. 과거의 규율사회 → 부정성의 사회→ ~해서는 안 된다!는 금지 명령과 규율이 있다.→ 광인과 범죄자를 낳는다. → 쾌락 자체가 금지 2. 현대의 성과사회 → 긍정성 성격, I can do it →치명적 과잉활동 사회, 자기착취사회(번아웃), 정신적 탈진증상.스스로가 피해자인 동시에 가해자이다. → 부정의 힘(하지 않을 수 있는 힘. 아니오라고 말할 수 있는 힘)이 없어졌다. 소진.. 2023.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