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5. 눈을 뜨는, 경제

공매도 담보비율 평가(계산)방법

by 키다리 가로등 2022. 7. 4.
반응형

 

공매도는 “기울어진 운동장” 이라며 개선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아래 표는 뉴스에서 다루고 있는 개인과 외국인/기관의 공매도 요건 비교입니다.

그중에서도 개인과 외국인/기관의 공매도 상환기관과 담보비율이 크게 차이 나게 보입니다.

 

 

* 출처 : 공매도, 여전히 ‘기울어진 운동장’… 담보 기간과 비율 개인에게 특히 불리 - 조선비즈 (chosun.com)

 

 

위의 표에서 상환기간은 잘 알겠는데, 담보비율 140 %, 105 % 라는 게 어떤 의미일까요?

담보비율을 이해하려면 담보비율 평가 계산식을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담보비율은 최소 담보유지비율을 줄여서 담보비율이라고 얘기합니다.

미래에셋 사이트에서 받아 볼 수 있는 증권 대차거래(전문투자자 차입자용) 핵심(요약) 설명서를 보겠습니다.

여기에 담보유지비율 계산식이 나와 있습니다.

  • 담보유지비율 = 보유담보총액 / 차입금액
    - 보유담보총액 : ⓐ 현금(예수금) + ⓑ 차입주문가능금액 + ⓒ 차입공매도금액 - 매수상환금액
    - 차입금액 : ⓑ 차입주문가능금액 + ⓓ 차입공매도평가금액 - 매수상환금액
  • ⓑ 차입주문가능금액 : (차입수량 - 차입공매도수량) * 현재가
  • ⓒ 차입공매도금액 : 차입공매도단가 * 차입공매도수량
  • ⓓ 차입공매도평가금액 : 현재가 * 차입공매도수량

* 출처: 미래에셋 증권 대차거래(전문투자자 차입자용) 핵심(요약) 설명서

 

 

위의 담보유지비율 계산식을 보면 전문용어와 식들이 복잡해 보입니다.

 

 

 

그래서 쉽게 간단하게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개인이 현금이 4,000 만원 있고, 대차거래로 빌린 주식(차입금액)이 1 억원이 라면,

 

개인 담보유지비율

= 보유담보총액 / 차입금액 x 100 %

= (현금 + 차입금액) / 차입금액 x 100 %

= (4,000 만원 + 1 억원) / 1 억원 x 100 %

= 1.4 x 100 %

= 140 %

즉, 담보유지비율은 140 % 가 됩니다.

이것을 다른 말로 바꾸면,

개인이 4,000 만원이 있으면 최대 1 억원까지 빌려서 주식을 매입한 뒤 공매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기관과 외국인은 담보유지비율이 105 % 입니다.

위의 식에 대입해보면,

 

기관/외국인 담보유지비율

= (500 만원 + 1 억원) / 1 억원 x 100 %

= 105 %

 

기관과 외국인은 500 만원이 있으면 1 억원어치 공매를 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자본이 개인보다 월등히 뛰어난 기관과 외국인은 500 만원이 아니라

5 억, 50 억원 이상 보유금액을 확보하면 100 억, 1000 억원 이상 공매도가 가능합니다.

즉, 기관과 외국인은 자기 자본 대비 20 배를 레버리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공매도 담보비율 평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